본문 바로가기
  • Lanevo5 - Carmodeling

Evo´s RC24

[일상] 타미야 와일드 원 실차 (Tamiya Wild One Max) 클래식 자동차를 75%로 줄여서 리메이크 차량을 제작하는 영국의 '리틀 카 컴퍼니' 라는 곳에서 제작한 '타미야 와일드 원 맥스' 입니다. 타미야의 와일드 원 디자인을 기반으로 전기모터로 구동되는 탑승이 가능한 공도주행용 차량이라네요. 2024. 8. 30.
[일상] 풀사이즈 RC10 & 몬스터비틀 (실차) 1. Sema 2023 Las Vegas Fullsize Team Associated RC10 2. Life-Size Tamiya Monster Beetle몬스터 비틀 주요 스펙 (Length 400은 4000을 잘못 적은거 같습니다.)Main specificationsBody size: Length 400 x width 2050 x height 2080 (mm)Engine type: Liquid-cooled in-line 4-cylinderValve train: DOHC 16 valvesTotal displacement: 1796 ccMaximum output: 180 hpMaximum torque: 17.3 kgmDrive train: Part-time 4WDTransmission: 5-speed M.. 2024. 7. 2.
[WIP] 타미야 - 1/10 머드 블라스터 가조립 블랙풋 새시를 이용한 머드 블라스터 차체 조립을 얼추 마쳤습니다.주행은 하지 않을거라 별도의 옵션추가 없이 기본 키트 그대로 조립했는데 오리지날과 다른 부분이 몇군데가 있습니다. (세세히 따지면 많은 차이가 있습니다만...)우선 오리지날 쇽은 프릭션쇽을 사용하고 별매옵션이었던 C.V.A쇽이 블랙풋에는 기본으로 장착된 점과 후륜 기어박스 하부에 언더가드가 장착된 점이 외관상 차이가 있네요.바디 마운트는 스바루 브랫의 'F'파츠 마운트를 수정없이 그대로 사용했습니다.(오리지날에는 알루미늄 재질의 조향서보혼 가드가 별도로 있던데 더스트커버로 가려지므로 외관상 차이는 없습니다.)바디도색과 타이어, 데칼 구매가 남았지만 가조립된 모습만으로도 살짝 감흥이 오는데 완성된 모습이 너무나도 기대가 됩니다. ㅎㅎP.S19.. 2024. 3. 28.
[프로젝트] 타미야 - 1/10 머드 블라스터 어렸을때부터 지금까지 인상깊게 남아있는 알씨카중 하나인 타미야의 '머드 블라스터 (Mud Blaster)' 를 타미야 키트 2개를 조합하여 만들어 보고자 주문한 제품이 오늘 왔습니다.그동안 프라에 집중하느라 RC키트를 꽤 오랜만에 사본거 같은데 요즘 RC키트와는 다르게 올드키트는 박스도 크고 내용물도 꽉꽉 들어차 있는데다 새시마다의 특징이 있다보니 비슷비슷한 요즘 키트보다 조립하는 재미가 쏠쏠하고 어린시절로 돌아가 큰 선물받은것 같은 기분이 듭니다.특히나 타미야는 같은 새시에 바디만 바꿔서 내놔도 박스아트나 패키지를 보면 사고싶게 만드는 묘한 재주가 있는거 같습니다.이 거창한 프로젝트(?)를 준비하면서 머드 블라스터, 블랙풋(새시&휠), 몬스터 비틀(새시&타이어), 스바루 브랫(바디)의 매뉴얼을 비교해 .. 2024. 3. 20.
[Tamiya] M05 주행... 최근까지 일때문에 뜸했던 첨단 인라인장 특설트랙(?)에서 오늘 M05 첫 주행을 했다. 조립한지는 한참됐지만 이런저런 이유로 미루다가 더이상은 안되겠기에 새벽같이 일어나 간단하게 차량과 조종기만 챙겨서 다녀왔다. 보유차종 대부분이 버기류임에도 불구하고 장소의 제약으로 인해 작년부터 투어링 차량을 주로 굴리고 있는데 특설트랙의 규모가 크지않아 6.5t 투어링으로 굴리기에는 답답함감이 있어 미니투어링으로 눈을 돌려보니 M05 옵션버전인 Ver.2 R버전이 좋다는 글을보고 알아보니 대부분 이미 오래전에 품절... 그러던 차에 얼마전에 재입고되어 잽싸게 구입후 조립한 다음 적당한 바디를 사려고 보니 요것들도 대부분 품절이라 집에 있던 과거 나의 첫번째 타미야RC 포르쉐959차체에 추가로 구입했던 셀리카 바디가 .. 2017. 6. 11.
[완성] 타미야 - 이그레스 드디어 완성! 미도색 상태로 놔두기 싫어서 추운날 도색했더니 상태가 별로다.그래도 만들어 놓고 나니 괜찮네~ ㅎㅎ 2015. 3. 15.
[WIP] 타미야 - 이그레스 (2013) 구입후 1년도 넘게 숙성시켜 똥되기 일보직전의 이그레스를 올해를 넘기지 않으려고 제작에 들어갑니다. ㅎㅎ A봉다리부터 시작~  쑥~ 건너뛰어 쇽조립과 자질구레한것들 빼고는 대략적인 모습이 완성됐습니다.부분부분 나사잠금제를 사용하면서 천천히 음미(?)하면서 조립하였습니다. ㅎㅎ무수히 많은 나사로 이루어진 덧대기식 구조가 요즘의 제품들과는 설계상 다소 차이가 있습니다만 만드는 재미가 쏠쏠합니다.기어 구동상태를보니 성형시 수축때문인지는 몰라도 약간 뒤틀려 있어 구동시에 부하가 약간 걸리는데 차후에 깡통모터 달아서 길 좀 들여야 겠습니다. 스티어링랙에 무슨 베어링이 그리 많이 들어가는지 설명서를 다시 보고 조립했습니다.암대힌지부분에 유격이 있어서 심이라고 말하기는 뭐한 와샤 하나 심어주었습니다. 뒤허브에도 1m.. 2014. 12. 24.
[일상] 함께했던, 함께하는 그리고 함께 할 차량들 그동안 만져봤던 차량들 생각나서 정리해 봤습니다. (이미지 출처 : 구글 검색) 1. 함께했던 차량들   - 갤럭시버기 (아카데미)   - 록버스타 (아카데미)   - 훼어레이디 (아카데미)   - 미라지4WD (아카데미)   - 포르쉐959 (타미야)   - Tom's LEVIN (타미야 / FF-01)   - 얼티마 프로 (교쇼)   - Slash 4x4 (트랙사스)  2. 함께하는 차량들 (주행)   - STR4-PRO2 (아카데미)   - TEH-R31 (TOP CAD)   - 슈퍼 클로드 버스터 (타미야)   - SCX-10 Rubicon (엑시얼)   - 험머 (타미야 / TA-01)   - RC10 B4 (어소시)   - MG10TR2 (센레이싱)   - TRF 801X (타미야)   - E.. 2014. 8. 23.
[일상] 나는 타미야빠? 어렸을적부터 '만들기'를 좋아해서 매일 100원씩 받았던 용돈으로 거의 매일 문방구 앞에 쭈그리고 않아 100원, 300원하는 조립식 키트(그때는 '만들기'라고 불렀습니다. ^^)를 만들곤 했습니다.인터넷이 발달하고 나서야 알게 되었지만 당시의 제품들이 반다이나 마루이, 아오시마 등등 일제 키트의 카피제품인 것도 모르고 그냥 조립하는 그 순간이 가장 즐거웠었죠. 반다이의 구판건담 1/144 카피제품이 300원, 아오시마의 인디언 시리즈가 150원이었던 시절에 무려 1,000원이나 하는 1/100 건담은 PG만큼이나 커보였습니다만 막상 지금 MG를 만들면 예전의 그 크기가 아닌거 같아 격세지감을 느끼기도 하네요.그러다가 80년대 중반에 아카데미가 갤럭시버기를 발매하자 부모님을 조르고 졸라 거금 10만원을 .. 2014. 4. 26.
[WIP] 팀듀랑고 - desc410 12mm 휠허브장착 듀랑고 숏코스410 전용휠이 마음에 드는게 없어서 하비킹제 12mm허브를 가공해서 달아봤습니다. 가공방법은 휠액슬 핀홀을 2mm 드릴로 넓혀주고 12mm 휠허브 핀자리 부분을 한쪽만 오리지날 허브처럼 바깥쪽까지 갈아낸후 뒤집어서 장착했습니다. 베어링과 허브사이의 유격은 5x8x0.5mm, 5x8x0.3mm 심을 1개씩 조합하여 주었구요. 휠액슬 구멍을 넓힌게 주행중에 문제가 될지는 모르겠지만 테스트 주행은 아직 해보질 못해서 어쩔지는 모르겠습니다.타이어는 현재 루이스 로켓 온로드용 타이어를 장착했습니다. 2014. 3. 10.
[지름] 타미야 - M1025 험머 천안에 출장갔다오는길에 전주에 들러 구입한 타미야 험머입니다.시간에 쫓겨 구성품을 확인안하고 구입했는데 집에와서 보니 모터가 스포츠튠드로 들어있네요. 아마도 누군가 필요했나 봅니다. ^^ (문제될건 없겠지만 원래는 일반 540모터로 알고 있음.)같은 제품으로 다카르 랠리같은 사막형오프로더로 꾸민 사진을 보고서 비슷하게 만들어 보고 싶은 마음이 있었는데 천천히 꾸며볼 예정입니다. (RC도 프라처럼 점점 계획했던 일들이 점점 늘어만가고 있네요. @@@) 2012. 5. 26.
[지름] FPV 시스템 구입 요근래개인적으로 과거 첫 외산RC였던 타미야제 포르쉐 959의 복원을 계획하면서 또다른 소일거리가 없는지 알아보던차에 예전부터 관심을 가지고 있던 FPV(First Person View) 시스템을 슈퍼 클로드 버스터에올려보고자 기자재를 주문했습니다.주로 RC항공촬영용 무선영상장비로 활용되고 있는데 차량에도 적용하면 재미있을거 같은 생각이 들어 최대한 저렴한 제품들로 구성해 봤습니다.일단 이장비들로 기본적인 구성과 세팅을 익히고 부족한 부분을 채워나갈 계획입니다. 1. FPV Tx/Rx & 1/3" CCD CameraFPV 시스템의 가장 기본이 되는 무선영상 송,수신장치와 소형카메라입니다.송,수신장치의 주파수대역은 900MHz, 1.2GHz, 2.4GHz, 5.8Ghz 정도가 있는데 차량용 조종기가 2.4.. 2012. 5. 1.